오늘은 저번 포스팅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설치하기' 에 이어서 개발을 시작하기 위해
JDK, SDK, AVD 를 설치하여 개발환경을 구축해보겠습니다!🐱🏍
JDK 설치
예전에는 자바 JDK를 설치하여 설정을 해주어야 했지만, Android Studio 2.2 버전 이상부터는
Android Studio에 최신 버전의 OpenJDK를 내장하고 있으므로 따로 JDK를 설치하지 않아도
안드로이드 앱을 개발하는데 문제가 없습니다.
프로젝트를 생성 후 앱 수준의 build.gradle 파일에 들어가 보면 위와 같이 JDK가 설정되어 있습니다.
SDK 설치
SDK를 설치하기 위해서 우선 새 프로젝트를 생성해 줍니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실행하고 Projects 탭에서 New Project 버튼을 눌러줍니다.
Empty Activity를 선택 후 Next 버튼을 눌러줍니다.
프로젝트의 이름을 적고, Save location에는 프로젝트가 저장될 경로를 선택해줍니다. 언어는 Kotlin으로 선택하고 Minimum SDK는 API 21로 선택 후 Finish 버튼을 눌러줍니다.
build가 완료되면 위와 같이 프로젝트가 생성되었습니다.오른쪽 상단에 큐브 모양 버튼(SDK Manager)을 클릭해줍니다.
SDK Manager 에 들어오면 SDK Platforms 탭을 보시면 기본으로 Android 12.0(S) 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Android 12.0은 가장 최신 버전이라 하위 버전 두 개 정도 더 설치해 주는 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Android 11.0(R)과 Android10.0(Q) 를 체크 후 Apply 버튼을 눌러줍니다.
Apply 버튼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안내 창이 뜨는데 OK 버튼을 눌러줍니다.
좌측에는 설치할 SDK가 표시되어있습니다. Accept 체크해주고 Next 버튼을 눌러줍니다.
SDK가 설치되고 있는 중입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Finish 버튼을 눌러줍니다.
다음으로 SDK Tools에서 Google Play services를 체크하고 OK 버튼을 눌러줍니다.
위에서 SDK를 설치했던 것처럼 설치가 진행 후 완료되면 Finish 버튼을 눌러줍니다.
설치가 모두 완료되면 상단바에 망치모양 아이콘을 눌러서 프로젝트를 빌드해줍니다.
위와 같이 Build 창에서 빌드가 완료되었다는 텍스트가 나오면 SDK 설치가 잘 끝났습니다!
AVD 설치
SDK가 설치되었으면 다음으로 AVD를 설치해보겠습니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상단바에 스마트폰 모양(AVD Manager) 아이콘을 클릭해줍니다.
Android Virtual Device Manager 창이 뜨면 가운데 Create Virtual Device 버튼을 눌러줍니다.
스크롤을 내려서 Pixel 2를 선택하고 Next 버튼을 눌러줍니다.
먼저 버전 Q를 다운로드 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Finish 버튼을 눌러줍니다.
Downlad 텍스트가 없어지면 설치가 완료된 것입니다.
오른쪽에 보면 HAXM 이 설치가 안 돼있다고 하는데,
HAXM이란 Hardware Accelerated Execution Manager의 약자로
하드웨어 가속 기능을 이용하여 애뮬레이터를 빠르게 실행하는 기능입니다.
없으면 AVD를 실행할 수 없으므로 Install Haxm 버튼을 눌러줍니다.
RAM allocation은 권장 설정인 2.0GB로 선택하고 Next 버튼을 눌러줍니다.
Finish 버튼을 눌러서 설치를 완료해줍니다.
버전 Q를 선택하고 Next 버튼을 눌러줍니다.
Finish 버튼을 눌러 AVD 설정을 종료합니다.
설정이 완료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오른쪽에 재생 버튼을 누르면 AVD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실제 스마트폰처럼 부팅이 되고 홈 화면이 나오면 AVD 설치가 모두 완료되었습니다!
그럼 마지막으로 설치가 잘 되어있는지를 테스트하기 위해서 프로젝트 상단에
Device는 설치한 Pixel 2를 선택하고 재생(Run) 버튼을 눌러줍니다.
위와 같이 프로젝트 빌드가 성공하고, AVD에 Hello World! 텍스트가 표시된 앱이 실행되면 모든 설정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습니다!
👌참고
이번 포스팅에서 설치한 SDK와 AVD의 파일크기가 작지 않기 때문에 혹시라도 C 드라이브에 용량이 부족하신 분들은
SDK와 AVD를 D드라이브로 옮길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된 내용은 다음 포스팅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ㅎㅎ
여기까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JDK, SDK, AVD 설치를 마치겠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개발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설정들을 다뤄보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Android > AndroidStudio' 카테고리의 다른 글
[Android]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에뮬레이터(AVD) 분리하기 (2) | 2022.04.01 |
---|---|
[Android]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SDK 경로, AVD 경로 변경해서 C드라이브 용량 확보하기 (Android Studio) (3) | 2021.10.05 |
[Android]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설치하기 (Android Studio Installation) (2) | 2021.10.04 |